5분 만에 끝내는 한글 윈도우 영문 윈도우로 초간단 변경 가이드: 복잡한 재설치 없이
언어 팩으로 해결!
목차
- 한글 윈도우를 영문 윈도우로 변경해야 하는 이유
- 복잡한 재설치 없이 언어 팩으로 변경하는 방법의 장점
- 영문 언어 팩 설치 및 윈도우 표시 언어 변경하기
- 설정 메뉴를 통한 언어 설정 접근
- 새로운 언어 추가 및 영어(미국) 언어 팩 다운로드
- 윈도우 표시 언어를 영어로 변경 및 재로그인
 
- 키보드 입력 언어 설정 및 관리
- 영어(미국)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
- 기존 한국어 키보드 레이아웃 제거 (선택 사항)
 
- 웰컴 스크린, 시스템 계정, 새로운 사용자 계정에 영어 적용하기 (고급 설정)
- 관리 설정 접근 및 복사 설정 활용
- 현재 설정을 웰컴 스크린 및 새 사용자 계정으로 복사
 
- 변경 후 확인 사항 및 문제 해결 팁
- 원상 복구 (다시 한국어로 변경) 방법
한글 윈도우를 영문 윈도우로 변경해야 하는 이유
많은 사용자들이 한글 윈도우를 사용하고 있지만, 때로는 특정 상황이나 작업 환경 때문에 윈도우의 표시 언어를 영어로 바꿔야 할 필요성을 느낍니다. 예를 들어, 해외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거나 사용할 때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 영문 환경에 익숙한 직장 또는 학업 환경, 외국어로 된 특정 전문 용어의 일관된 표기 유지 등이 주된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프로그래밍이나 특정 기술 문서를 다룰 때, 윈도우 자체의 시스템 메시지나 폴더 이름 등이 영문으로 통일되어 있으면 작업의 효율성과 정확성이 높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에는 윈도우를 영문 버전으로 새로 설치해야만 했지만, 이제는 간단한 설정 변경만으로 이 모든 것을 쉽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재설치 없이 언어 팩으로 변경하는 방법의 장점
이 가이드에서 소개하는 방법은 윈도우를 아예 새로 설치하는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과정을 생략합니다. 윈도우의 '언어 팩' 기능을 활용하면 기존에 설치된 프로그램, 파일, 개인 설정 등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윈도우의 '표시 언어'만 바꿀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간 절약: 윈도우 재설치(수 시간 소요) 대신 단 몇 분 만에 언어 변경 가능.
- 데이터 보존: 기존의 모든 파일, 설정,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이 그대로 유지됨.
- 간편한 원상 복구: 언제든지 다시 한국어 윈도우로 쉽게 되돌릴 수 있음.
이러한 장점 덕분에 시스템 환경을 건드리지 않고 표시 언어만 변경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가장 추천되는 방식입니다.
영문 언어 팩 설치 및 윈도우 표시 언어 변경하기
본격적으로 한글 윈도우의 표시 언어를 영어로 변경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이 과정은 윈도우 10 및 윈도우 11 환경 모두에서 유사하게 적용 가능합니다.
설정 메뉴를 통한 언어 설정 접근
가장 먼저 윈도우의 설정 메뉴로 진입해야 합니다.
- 시작 버튼을 클릭하고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또는 Windows 키 + I단축키를 눌러 바로 설정 창을 엽니다.
- 설정 창에서 시간 및 언어 (Time & Language)를 선택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언어 및 지역 (Language & region) 또는 언어 (Language)를 선택하여 언어 설정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새로운 언어 추가 및 영어(미국) 언어 팩 다운로드
현재 시스템에 영어 언어 팩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이를 추가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언어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목록에서 영어 (English)를 검색하거나 찾아 선택합니다. 지역에 따라 영어(미국) (English (United States)) 또는 영어(영국) (English (United Kingdom)) 등 원하는 버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영어(미국)를 추천합니다.
- 선택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 설치할 언어 기능(언어 팩, 텍스트 음성 변환, 필기 등) 중 Windows 표시 언어 항목에 반드시 체크가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설치 버튼을 클릭하여 언어 팩 다운로드 및 설치를 시작합니다. 인터넷 속도에 따라 몇 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윈도우 표시 언어를 영어로 변경 및 재로그인
언어 팩 설치가 완료되면 이제 윈도우의 표시 언어를 변경할 차례입니다.
- 언어 및 지역 설정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 화면 상단의 Windows 표시 언어 (Windows display language)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합니다.
- 이 목록에서 방금 설치한 English (United States) (또는 선택한 영어 버전)를 선택합니다.
- 언어를 변경하면 로그아웃해야 새 표시 언어가 적용됩니다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 예, 지금 로그아웃합니다 버튼을 클릭하여 윈도우에서 로그아웃합니다.
- 다시 로그인하면 윈도우의 모든 메뉴, 설정, 메시지 등이 영어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 입력 언어 설정 및 관리
표시 언어를 영어로 바꿨더라도 키보드 입력 언어는 별도로 관리됩니다. 필요에 따라 한국어 키보드를 유지하거나 영어 전용 키보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영어(미국)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
표시 언어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영어 키보드 레이아웃도 함께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화면 오른쪽 아래 작업 표시줄의 키보드 아이콘($$KOR$$또는$$ENG$$)을 클릭하거나 Windows 키 + 스페이스 바를 눌러 입력 언어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 English (United States)를 선택하여 영어 입력 상태로 만듭니다. 이 상태에서는 한/영 키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기존 한국어 키보드 레이아웃 제거 (선택 사항)
만약 영문 윈도우 환경에서 한글 입력이 전혀 필요 없다면, 불필요한 전환을 막기 위해 한국어 키보드 레이아웃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및 지역으로 이동합니다.
- 한국어 항목 옆의 세로 점 3개 아이콘(옵션)을 클릭합니다.
- 제거 버튼을 클릭하면 한국어 입력 기능만 제거됩니다. (이 경우 윈도우 표시 언어인 영어만 남게 됩니다. 나중에 다시 추가할 수 있습니다.)
웰컴 스크린, 시스템 계정, 새로운 사용자 계정에 영어 적용하기 (고급 설정)
앞선 단계에서 변경된 언어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에만 적용됩니다. 만약 윈도우의 로그인(웰컴) 화면, 새로운 사용자를 만들었을 때의 기본 언어, 그리고 시스템 계정(관리자 권한을 요하는 메시지)의 언어까지 모두 영어로 바꾸고 싶다면 다음의 고급 설정이 필요합니다.
관리 설정 접근 및 복사 설정 활용
- 윈도우 검색 창에 제어판을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 제어판에서 시계 및 국가 (Clock and Region) > 국가 또는 지역 (Region)을 선택합니다.
- 열린 창에서 관리자 옵션 (Administrative) 탭을 클릭합니다.
- 설정 복사 (Copy settings)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기 전에 현재 사용자의 표시 언어가 영어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현재 설정을 웰컴 스크린 및 새 사용자 계정으로 복사
- 설정 복사 창이 나타나면 현재 사용자 계정의 언어 설정(표시 언어, 입력 언어, 형식 등)이 올바른지 확인합니다.
- 하단의 현재 설정을 다음 계정에 복사 섹션에서 다음 두 항목에 체크합니다.
- 시작 화면 및 시스템 계정 (Welcome screen and system accounts)
- 새 사용자 계정 (New user accounts)
 
- 확인을 클릭합니다.
-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로그인 화면(웰컴 스크린), 시스템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는 팝업 창, 그리고 앞으로 새로 생성할 사용자 계정의 기본 언어가 모두 영어로 변경되어 적용됩니다.
변경 후 확인 사항 및 문제 해결 팁
언어 변경 후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다음 사항들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표시 언어 확인: 시작 메뉴, 설정, 제어판 등의 주요 시스템 인터페이스가 모두 영어로 바뀌었는지 확인합니다.
- 국가별 설정: 언어는 영어로 바뀌었지만, 시간 형식, 통화 기호, 날짜 형식 등은 국가 또는 지역 설정에서 원하는 대로 유지하거나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 영어 윈도우에서 한국 시간 형식 유지)
- 문제 해결: 만약 일부 프로그램만 여전히 한글로 표시된다면, 해당 프로그램 자체가 윈도우의 표시 언어 설정을 따르지 않고 자체적인 언어 설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해당 프로그램의 설정 메뉴에서 언어를 직접 변경해야 합니다.
원상 복구 (다시 한국어로 변경) 방법
언제든지 다시 한국어 윈도우로 돌아가고 싶다면, 변경 과정의 역순을 따르면 됩니다.
- Settings > Time & Language > Language & region으로 이동합니다.
- Windows display language 드롭다운 메뉴에서 한국어를 선택합니다.
-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하면 모든 표시 언어가 원래대로 한국어로 돌아옵니다.
- 만약 고급 설정을 통해 웰컴 스크린까지 영어로 변경했다면, Control Panel > Clock and Region > Region > Administrative 탭에서 Copy settings를 클릭한 뒤, Current user의 언어 설정이 한국어일 때 다시 Welcome screen and system accounts에 체크하고 확인을 눌러 재부팅하면 됩니다.
더 자세한 참고자료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겨울철 골칫거리, 냉온풍기 실외기 누수! 쉽고 빠른 해결 가이드로 걱정 끝! (0) | 2025.10.31 | 
|---|---|
| 3분 만에 뚝딱! 윈도우10 로그인 계정 변경, 쉽고 빠른 완벽 가이드 (0) | 2025.10.31 | 
| '윈도우 탐색기가 응답하지 않습니다': 쉽고 빠른 해결책으로 PC 스트레스 싹 날리기! (0) | 2025.10.30 | 
| '윈도우 정품인증 기간만료' 1분 만에 해결? 쉽고 빠른 방법 대공개! (0) | 2025.10.30 | 
| 지루했던 윈도우 프로그래밍, Visual C++ MFC로 쉽고 빠르게 마스터하는 비법 공개! (0) | 2025.10.29 | 
 
                